맨위로가기

제5SS기갑사단 비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SS기갑사단 비킹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에 소속된 기갑 사단이다. 1940년 외국인 지원병으로 창설되었으며, 노르트란트, 베스트란트, 게르마니아 연대를 주축으로 편성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북유럽 출신 지원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핀란드 의용군과 에스토니아 나르바 대대 등이 배속되었다. 동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사단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43년에는 기갑척탄병사단으로, 1943년 10월에는 기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사단은 우크라이나, 코카서스, 쿠르스크, 바르샤바, 헝가리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전쟁 말기에는 전쟁 범죄에 연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네 국가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우크라이나 지역을 점령한 후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독일은 이곳의 자원을 수탈하고 유대인과 슬라브인을 탄압했으며, 1944년 소련군의 진격으로 해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우크라이나 - 총독부 (나치 독일)
    총독부는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점령한 후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폴란드 영토의 일부를 포함하며 인종 차별 정책을 시행하고 유대인 학살을 자행하다가 소련군의 진격으로 붕괴되었다.
  • 홀로코스트와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반란군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무장 조직으로, 우크라이나 독립을 목표로 독일, 폴란드, 소련 등에 맞서 싸웠으나, 홀로도모르, 독일 협력, 폴란드인 학살, 소련 저항 등으로 논란이 있으며, 로만 슈케비치의 지휘하에 조직되어 소련에 의해 궤멸되었지만 우크라이나 독립 후 재평가되고 있다.
  • 홀로코스트와 우크라이나 - 게네랄플란 오스트
    게네랄플란 오스트는 나치 독일의 레벤스라움 정책으로 동유럽의 슬라브족을 몰살시키고 독일인을 이주시키려던 비밀 계획이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고 나치 독일의 잔혹한 점령 정책과 홀로코스트에 영향을 미쳐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규탄받았다.
  • 무장친위대 기갑척탄병사단 -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질서 경찰 인력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 사단으로, 프랑스 전역, 독소 전쟁, 발칸 반도 등에서 활동하며 민간인 학살 등의 전쟁 범죄에 연루되어 역사적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무장친위대 기갑척탄병사단 - 제17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겐
    제17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겐은 1943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루마니아 및 발칸반도 출신 징집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부 전선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했고, 전쟁 말기 독일 본토 방어전에 참여한 후 미군에 항복했으며, 소속 병사들의 전쟁 범죄 혐의가 있었다.
제5SS기갑사단 비킹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5 SS 사단 로고
부대 휘장
명칭제5SS기갑사단 비킹
독일어 명칭5. SS-Panzerdivision Wiking
별칭비킹
활동 기간
창설1940년 12월 1일
해체1945년 5월 8일
국가나치 독일
소속[[File:Flag Schutzstaffel.svg|26px]] 무장친위대
병과기갑
종류사단
역할기갑전
규모사단
본부 위치독일
로스토프나도누
조지아
하르코프
체르카시
바르샤바
에스테르곰
표어나의 명예는 충성 (Meine Ehre heißt Treue)
지휘관
주요 지휘관펠릭스 슈타이너
헤르베르트 길레
에두아르트 다이젠호퍼
요하네스 뮐렌캄프
카를 울리히
전투 및 작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바르바로사 작전
청색 작전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치타델레 작전
코르순 포위전
바르샤바 봉기
봄의 각성 작전
에르테페스트 작전
최종 위치체코, 오스트리아
기사 철십자 훈장 수훈자
참모부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요하네스루돌프 뮐렌캄프
펠릭스 슈타이너
제5SS기갑연대 비킹헬무트 바우어
프리츠 다르게스

한스 플뤼겔
알프레트 그로스로크
빌리 하인

요하네스루돌프 뮐렌캄프
카를 니콜루시레크
카를 피쿠스
후고 루프
오토 슈나이더
쿠르트 슈마허
파울 젱가스
제9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프리츠 비기

아우구스트 디크만
한스 도어
프리츠 에흐라트
마르쿠스 파울하버
에곤 프란츠
프란츠 하크}}
한스 유헴
쇠렌 캄
베르너 마이어
하인츠 무어
헬무트 푀르트너
구스타프 슈라이버
한스 지크문트
요제프 스티어
위르겐 바그너
제10SS기갑척탄병연대 베스트란트아우구스트 디크만
한스 드렉셀
프란츠 하크}}
브루노 힌츠
게르하르트 로트체
알베르트 뮐러
에르빈 라이헬
발터 슈미트
귄터 지터
에리히 체퍼
SS기갑척탄병연대 노르트란트해리 폴레바크츠
프리츠 폰 숄츠
에스토니아 SS 의용기갑척탄병대대 나르바게오르크 에버하르트
SS 의용돌격여단 발로니엔레옹 디그렐
제5SS기갑포병연대 비킹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요아힘 리히터
카를 슐라멜허
제5SS대전차자주포분견대 비킹빌리 에슬링거
게르하르트 피셔
파울 트라반트
제5SS기갑수색분견대 비킹하인리히 데부스
제5SS기갑공병대대 비킹후고 아이히호른
에버하르트 헤더
막스 셰퍼
제5SS대공포분견대 비킹알로이스 슈나우벨트
tfoot:

2. 편성, 훈련 및 인적 구성

1940년 11월 9일, SS 사단 "비킹"은 "게르마니아(Germania)" 연대를 주축으로 "베스트란트(Westland)" 및 "노르트란트(Nordland)" 연대로 편성되었다. 그해 9월 총통 명령에 따라 네덜란드, 플란데런, 덴마크, 노르웨이 지원병으로 자동차화보병 사단을 창설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12월 21일 총통 명령에 따라 사단은 북유럽 무장 집단 바이킹에서 이름을 따 "비킹(Wiking)"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목표했던 5,000명의 병력은 모이지 않았고, 약 1,150명(네덜란드인 600명, 플란데런인 100명, 덴마크인 200명, 노르웨이인 250명)의 지원병이 모였다.

2. 1. 초기 편성 (1940-1941)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SS의 수장 하인리히 힘러는 무장 친위대를 외국인 지원병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1940년 4월, 무장 친위대 노르트란트 연대(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소수의 아이슬란드 지원병)와 무장 친위대 베스트란트 연대(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지원병)가 창설되었다.[3]

원래 '노르디셰 사단'(제5사단)으로 조직될 예정이었던 이 부대는 북유럽 지원병과 독일 무장 친위대 인력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1940년 말, 주로 독일인으로 구성된 'SS-가용사단'의 SS 보병 연대 게르마니아가 새로운 사단의 핵심으로 배치되었다.[4] 1940년 12월, 이 SS 기동 부대는 SS 사단 게르마니아로 지정될 예정이었지만, 1941년 1월 SS 사단 비킹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 사단은 게르마니아, 베스트란트, 노르트란트 연대와 포병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펠릭스 슈타이너가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6]

1941년 3월 말, 사단은 독일 호이베르크에서 훈련을 받았고, 1941년 4월까지 전투 준비를 완료했다.[7] 1941년 6월, 핀란드 의용군 대대가 "노르트란트" 연대에 배속되었다. 겨울 전쟁에서 싸운 약 430명의 핀란드인이 바르바로사 작전 시작부터 SS 사단 비킹에서 복무했다.[8]

2. 2. 재편 및 변화 (1942-1945)

1942년 11월 9일, 사단은 '제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SS-Panzergrenadier-Division „Wiking“)'으로 개칭되었다.[1] 1943년 3월 18일, '노르트란트' 연대가 제11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 편성을 위해 차출되었고,[1] 1943년 4월 중순, SS 의용 기갑 척탄병 대대 '나르바'(Estnisches SS-Freiwilligen Panzergrenadier Bataillon "Narwa")가 '노르트란트' 연대 보강을 위해 새롭게 추가되었다.[1]

1943년 10월 22일, 제5SS기갑사단 '비킹'으로 재편되었으며,[1] 194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4,647명의 병력을 유지했다.[1]

1944년 3월 16일, 프랑스에서 새로 편성된 제9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의 제3대대와 제5SS기갑연대의 제2대대가 사단에 도착했고, 7월 30일까지 17,348명의 병력으로 다시 강화되었다.[1]

1944년 8월 24일, 병력이 10,335명으로 감소했으며, 우크라이나인 대대와 훈련을 받지 않은 공군 병력 약 1,000명이 보강되었다.[1] 10월 2일, 사단은 약 1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1]

1945년 2월 22일, 세케슈페헤르바르 주변으로 이동한 사단에는 해군과 공군 병력이 보충되었고, 1945년 2월 27일부터 다시 사단으로 가동했다.[1]

3월 24일, 베스프렘 주변에서 일시적으로 방어선이 형성되었고, 본국으로부터 마지막 보충을 받았다. 보충된 병력은 대공포 보조원, 보안 경찰관, 50세 이상의 병사들이었다.[1]

3. 작전 ইতিহাস

1940년 11월, 총통 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나치 독일네덜란드, 플란데런, 덴마크, 노르웨이 지원병으로 구성된 자동차화보병 사단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게르마니아" 연대를 주축으로 "베스트란트" 및 "노르트란트" 연대가 편성되어 "SS 사단 『비킹』"이 창설되었다.[1] 1940년 12월 21일, 총통 명령에 따라 사단은 북유럽의 무장 집단인 바이킹에서 이름을 따와 "'''비킹(Wiking)'''"으로 명명되었다.[1] 그러나 당초 목표했던 5,000명의 병력은 모이지 않았고, 약 1,150명(네덜란드인 600명, 플란데런인 100명, 덴마크인 200명, 노르웨이인 250명)의 지원병이 모였다.[1]

1943년 10월 22일, 사단은 제5SS기갑사단 "비킹"으로 개편되었으며,[1] 194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4,647명의 병력을 유지했다.[1] 이후 1944년 7월 30일까지 17,348명으로 병력이 보강되었다.[13]

3. 1. 소련 침공 (1941)

1941년 사단은 소비에트 연방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하여 현재의 우크라이나인 갈리치아를 통과하며 진격했다.[10] 1941년 3월 말, 사단은 호이버크 군사 훈련 지역으로 이동했고, 6월 초에는 브레슬라우 북쪽 지역으로 이동하여 러시아 침공 작전에 대비했다. 6월 18일에는 루블린의 남동쪽 지역으로 진격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1주일 후, 사단은 렘베르크로 이동했다. 여기에서 타르노폴로 진격하여 산타노프와 후시야틴 근처의 슈프루츠에 도달했다. 7월 7일에는 프로스쿠로프에서 부크강에 도달했고, 7월 16일에는 탈라차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7월과 8월에 비킹 사단은 우만 전투키예프 전투의 포위전에 참여했다.[10] 사단의 일부는 제14군의 지휘 하에 남진하여 우만 포위전 돌파에 기여했지만, 사단의 대부분은 드네프르강의 카네프 로스 강변에 배치되었다. 여기서 사단은 드네프르강 남쪽에서 붉은 군대를 추격하여 8월 6일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스미에라로 향했다. 8월 말에는 드네프르강의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에서 전투를 벌였다.[10] 그 후, 드네프로페트로우스크의 교두보에 배치되어 9월 28일까지 치열한 방어전을 펼쳤다.

10월 초, 사단은 파블로그라드로의 공격을 시작했다. 11월 초, 미우스강을 넘어 로스토프로 향하는 작전이 전개되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사단은 미우스 후방으로 퇴각해야 했고, 그곳에 진지를 구축했다. 12월에는 붉은 군대의 격렬한 공격이 반복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단은 11월에 겨울을 나기 위해 미우스강 전선으로 후퇴하기 전에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10]

1941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작전을 펼치는 사단 병력

3. 2. 코카서스 진격 (1942)

1942년 1월, 사단은 전투단을 편성하여 북쪽에 배치된 제3 기갑 군단에 배속되었다. 8주간의 임무를 마치고 전투단은 사단으로 돌아왔다.[1] 청색 작전 발동 후 7월 16일, 사단은 미우스 방어선에서 지원을 받아 타간로크 북서쪽 지역으로 진격했다.[1] 5일 후, 사단은 로스토프 공격을 감행했고, 7월 23일에는 도시 점령에 성공했다.[1] 사단은 돈강을 남하하여 쿠반으로 진격했다. 여기에서 다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 그리고리고폴리츠카야를 점령한 후, 사단은 쿠반을 넘어 라바까지 진격했다.[1] 8월 10일에는 벨리코예 근처에서 벨라야강을 건너 8월 14일에는 유전 지대 차디셴스카야를 점령했다.[1] 그 후, 사단은 코카서스 산맥 주변에 배치되었다.[1] 산악전에 특화되지 않은 보병 사단이었기 때문에, 8월 19일에는 전선에서 이탈하여 테레크의 모즈도크 지역으로 이동했다.[1] 9월 27일, 사단은 이곳에서 그로즈니로 진격하기 위해 모즈도크 남쪽 지역에서 말고베크를 공격했다.[1] 10월 5일, 말고베크는 격렬한 전투 끝에 점령되었다.[1]

3. 3. 우크라이나 및 쿠르스크 전투 (1943-1944)

1943년 초, 사단은 하르코프 남쪽 우크라이나로 후퇴하여 제2 SS 기갑군단에 합류했다. 이 군단은 마르키안 포포프의 포포프 기동군과 교전했으며, 하르코프 3차 공방전 동안 만슈타인은 전선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9]

1943년 헤르베르트 질레가 사단장으로 임명되었고, SS 사단 노르트란트 창설을 위해 노르트란트 연대가 사단에서 제거되었다. 핀란드 의용 대대는 에스토니아 나르와 대대로 교체되었다.[9]

1943년 여름, 사단은 쿠르스크 전투에서 예비대로 편성되었고, 쿠투조프 작전과 루뱐체프 작전에 대응하여 미우스-보고두호프 지역으로 이동했다. 1943년 8월 23일 소련군이 하르키우를 점령하자, 사단은 드네프르강으로 진격했다. 1943년 10월,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이후 비교적 조용한 전선으로 철수했다.[9]

1943년 11월, 사단은 수확제 축제 작전에 참여하여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9]

1943년 12월 말 키예프 함락 이후, 1944년 1월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에서 사단을 포함한 6만 명 이상의 병사들이 드네프르강을 따라 포위되었다. 독일군의 약 절반이 포위망을 돌파했지만, 비킹 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거의 모든 중장비를 잃었다.[9]

1944년 3월 초, 사단은 코벨 구원 작전에 참여했다. 사단장 헤르베르트 질레는 소련군에게 포위되기 전에 코벨에 도착했으나, 2,000명 이상의 독일 부상병이 있었기 때문에 돌파는 비현실적이었다.[13]

1944년 3월 말, 카를 니콜루시-레크 상급대장이 이끄는 구원 부대가 판터 전차 16대를 받은 제8중대를 중심으로 포위망 외부에 집결했다. 이들은 폭설과 소련군의 저항을 뚫고 3월 30일에 포위망을 돌파했다. 질레는 4월 한 달 동안 반격을 수행하여 4월 24일 코벨 주변에서 소련군을 격퇴했다.[13]

1944년 5월까지, 이 사단은 4호 전차, 4호 돌격포, 판터 전차를 포함한 이전 손실을 보충했다. 6월 초에 이 사단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마치에우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7월 6일, 소련군의 기갑 부대가 마치에우에 도착했다. 비킹의 전차와 대전차포는 잘 구축되고 위장되어 3일간의 전투에서 300대 이상의 소련 장갑차를 파괴할 수 있었다. 붉은 군대의 진격을 그 지역에서 막은 후, 비킹은 1944년 7월 13일에 폴란드로 파견되었다.[14]

3. 4. 바르샤바 및 헝가리 전투 (1944-1945)

1944년 8월 말, 사단은 바르샤바 인근 비스와강모들린 요새로 복귀하여 새로 창설된 비스와 육군 집단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루프트바페의 제1 헤르만 괴링 기갑사단 및 제3 SS 기갑사단 토텐코프와 함께 라지민 전투에 참여하여 소련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전선을 안정시켰다.[14]

폴란드 반군에게 노획된 ''비킹'' 사단의 독일 SdKfz 251 장갑 전투 차량


바르샤바 봉기 반군들이 ''비킹''의 이름을 새긴 완장을 포함한 전리품을 검사하고 있다.


사단은 제4 SS 기갑군단 소속으로 제3 SS ''토텐코프'' 사단과 함께 모들린 지역에 머물렀다. 헤르베르트 질레는 새로운 ''SS 기갑'' 군단의 지휘관으로 진급했고, 요하네스 뮐렌캄프가 사단 지휘권을 넘겨받았다. 10월에 카를 울리히가 뮐렌캄프의 뒤를 이어 사단을 이끌었다.[14]

1944년 12월 말, 부다페스트에서 포위된 제9 SS 산악군단을 구출하기 위해 제4 SS 기갑군단은 헤르만 발크의 제6군에 합류하여 콘라트 작전을 수행했다.[14]

1945년 1월 1일, 콘라트 작전 I의 일환으로 제5 SS 기갑사단 "비킹"은 제3 SS 기갑사단 "토텐코프"와 함께 작전에 투입되었다. 타타 근처에서 "비킹"의 선두 부대는 제4근위군을 공격했으나, 비치케에서 저지당했다. 이후 "비킹"은 도나우 강 굽이 근처의 에스테르곰 남쪽으로 이동했다.[15]

1월 7일, 콘라트 II 작전이 시작되어 "비킹"은 부다페스트를 향해 남쪽으로 진격했다. 1월 12일까지 "SS 기갑척탄병 연대 베스트란트"는 부다에서 20km 떨어진 필리센트케레스트에 도달했으나,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돌파구를 활용하지 못하고 후퇴했다.[15]

1월 20일, 제3기갑군단과 협력하여 남쪽으로 100km 떨어진 곳에서 콘라트 III 작전이 시작되었으나, 소련군의 저지로 1월 28일에 후퇴했다. 1월 말까지 "비킹"과 "토텐코프"는 장교 200명을 포함하여 8,000명의 사상자를 냈다.[15]

1945년 2월 13일, 사단은 발라톤 호 작전을 위해 서쪽의 발라톤 호로 이동했다.[15] 제프 디트리히의 제6 SS 기갑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으나, 소련군의 저항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3월 16일, 소련군의 반격으로 독일군은 후퇴했고, 3월 24일에는 비엔나로 후퇴하게 되었다.[16] 비킹은 체코슬로바키아를 거쳐 5월 9일 오스트리아 퓌르스텐펠트 근처에서 미군에 항복했다.[16]

4. 전쟁 범죄

리비우에서 힐마 바커레가 살해된 후, 브라운나겔 상급돌격지도자와 코찰티 하급돌격지도자가 이끄는 비킹 사단의 보급 부대원들이 지역 내 유대인들을 체포했다. 비킹의 보급 부대원들과 독일 제1 산악사단 소속 일부 병사들이 두 줄로 도열하여 열을 만들었고, 유대인들은 소총 개머리판과 총검으로 맞으면서 이 길을 달려야 했다. 이 길 끝의 집단 매장지로 사용되는 폭탄 구덩이에서 SS 및 육군 장교들이 유대인들을 사살했다. 이 방식으로 약 50명에서 60명의 유대인이 살해되었다.[17]

역사학자 엘레오노레 라핀은 저서 ''1945년 봄 오스트리아를 통과하는 헝가리 유대인의 죽음의 행진''에서 비킹 사단 구성원들이 저지른 여러 건의 전쟁 범죄를 기록했다.[18] 1945년 3월 28일, 이송 행렬에서 여행에 적합했음에도 불구하고 80명의 유대인이 비킹 소속 3명과 헌병 5명에 의해 총살되었다. 1945년 4월 4일, 그라츠를 떠난 다른 행렬의 구성원 20명이 그라트콘에서 멀지 않은 에겐펠덴 마을 근처에서 탈출을 시도했다. 그곳에 주둔한 사단 병력이 그들을 에겐펠트 산 근처 숲에서 체포한 후 도랑으로 몰아넣고 총살했다. 1945년 4월 7~11일, 사단 구성원들은 탈출한 또 다른 18명의 포로를 처형했다.

2013년 NRK는 비킹 사단의 전직 군인 올라프 터프의 증언을 인용했는데, 그는 "1941년 가을 우크라이나에서 한 번은 민간인들이 소처럼 교회로 몰려들었다. 얼마 후 우리 부대의 병사들이 교회에 휘발유를 붓기 시작했고, 그 안에서 200명에서 300명 사이의 사람들이 불에 타 죽었다. 나는 경비병으로 배치되었고, 아무도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19]

2014년 노르웨이 서적 ''할아버지, 히틀러와 나''는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사단 병사의 일기를 인용했는데, "그리고 우리는 유대인 구멍을 청소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0]

5. 지휘관

제5SS기갑사단 비킹 역대 지휘관
순서사진계급성명임기 시작임기 종료재임 기간
1--SS-대장펠릭스 슈타이너1940년 12월 1일1943년 5월 1일
2--SS-중장헤르베르트 질레1943년 5월 1일1944년 8월 6일
3SS-상급대령에두아르트 다이젠호퍼1944년 8월 6일1944년 8월 12일
4SS-대령요하네스-루돌프 뮐렌캄프1944년 8월 12일1944년 10월 9일
5SS-상급대령카를 울리히1944년 10월 9일1945년 5월 5일


6. 전투 서열

제5SS기갑사단 비킹의 초기(1940년)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24]

명칭 (영어)명칭 (독일어)예하 부대
SS 연대 게르마니아SS-Regiment Germania
SS 연대 노르트란트SS-Regiment Nordland
SS 연대 웨스트란트SS-Regiment Westland
제5 SS 포병SS-Artillerie-Regiment 5
기타



1940년 11월 9일, "게르마니아(Germania)" 연대를 주축으로 "베스트란트(Westland)" 및 "노르트란트(Nordland)" 연대가 편성되어 '''SS 사단 "비킹"(SS-Division "Wiking")'''이 창설되었다.[24] 총통 명령에 따라 네덜란드, 플란데런, 덴마크, 노르웨이북유럽 출신 지원병으로 구성된 자동차화보병 사단으로 창설될 예정이었으나, 목표했던 5,000명에 미치지 못하는 약 1,150명(네덜란드인 600명, 플란데런인 100명, 덴마크인 200명, 노르웨이인 250명)의 지원병이 모였다. 1940년 12월 21일 총통 명령에 따라 사단 명칭은 바이킹에서 따온 "비킹(Wiking)"으로 결정되었다.

1943년 이전까지 사단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

명칭 (영어)[22]명칭 (독일어)[23]



1943년 3월 18일, '노르트란트' 연대의 일부가 제11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 편성을 위해 추출되었다. 1943년 4월 중순, 사단 잔여 병력은 재편성과 보충을 위해 이쥼 남서쪽 약 80km 지점 로소바야 지구로 이동했다. 여기서 SS 의용 기갑 척탄병 대대 '나르바'(Estnisches SS-Freiwilligen Panzergrenadier Bataillon "Narwa")가 '노르트란트' 연대 보강을 위해 추가되었다.

6. 1. 1943년 이전 (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1943년 10월 22일, 사단은 '제5SS기갑사단 "비킹"(5. SS-Panzer-Division „Wiking“)'으로 개편되었다.[21] 개편 당시 사단의 초기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명칭 (영어)[22]명칭 (독일어)[23]



이후 사단은 카네프와 체르카시 사이에 있는 드니프로강으로 이동했다. 1943년 11월 13일, 붉은 군대는 체르카시 부근의 드니프로 강을 건너는 교두보 확보에 성공했고, 한 달 후에는 체르카시를 점령했다. 이후 사단의 진지는 카네프 남쪽에서 드니프로 강을 따라 체르카시를 향해 남서쪽 방향의 즈메린카로 향했다. 194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사단의 병력은 14,647명이었다.

6. 2. 1943년 이후 (제5SS기갑사단 "비킹")

1943년 10월 22일, 사단은 '제5SS기갑사단 "비킹"(5. SS-Panzer-Division „Wiking“)'으로 개편되었다.[21] 이후 카네프와 체르카시 사이의 드니프로강으로 이동했다. 1943년 11월 13일, 붉은 군대는 체르카시 부근 드니프로 강에 교두보를 확보했고, 한 달 뒤 체르카시를 공략했다. 사단은 카네프 남쪽에서 드니프로 강을 따라 체르카시를 향해 남서쪽 즈메린카로 진지를 옮겼다. 1943년 12월 31일 기준, 사단의 병력은 14,647명이었다.

1944년 1월 28일, 붉은 군대가 즈보노로프카 - 카네프 - 체르카시 사이에서 제11군단 및 제32군단을 포위하자, 사단은 포위망 남서부에 후방 방어선을 설치했다. 독일군의 구원 시도 중 제9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는 2월 9일, 제3기갑군단의 구원 부대를 맞이하기 위해 잔데로프카 지역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붉은 군대의 저항으로 실패했다.

1944년 2월 16일부터 독일군은 서쪽으로 철수했고, 사단은 여러 전투단으로 나뉘어 전투를 벌였다. 독일군 전선에 도달한 병력은 4,000명 정도였다. 이들은 즈보노로프카 서쪽 25번지 리시노에 집결하여 2월 25일 루블린 동쪽 지역으로 이동해 보충 및 재편성을 받았다. 1944년 3월 16일, 사단은 보충 지점인 코벨에 도착했지만, 마을은 이미 붉은 군대에 포위된 상태였다. 사단은 다른 독일군 부대와 함께 마체프 지구에 집결하여 코벨 구원에 나섰다. 프랑스에서 새로 편성된 제9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 제3대대와 제5SS기갑연대 제2대대가 사단에 합류했다. 1944년 3월 29일, 붉은 군대의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구원 작전이 시작되었으나, 제5SS기갑연대 제2대대의 일부만이 코벨을 향해 진격할 수 있었고, 포위망 돌파에는 실패했다. 제4, 제5기갑사단이 투입된 후, 1944년 4월 4일 사단은 다시 코벨로 진격하여 격렬한 전투 끝에 붉은 군대를 소탕했다. 이후 사단은 무장 친위대 훈련소 "하이델가"로 이동하여 보충을 재개했다. 1944년 7월 30일까지 사단 병력은 17,348명으로 증가했다.

사단의 판터 전차와 Sd.Kfz.251/6 (1944년, 바르샤바 근교)


1944년 7월 중순, 사단은 비알리스토크 남동쪽 약 65km 지점 비아워비에자 지구로 이동했다. 1944년 7월 19일, 브레스트 북동쪽 약 38km, 레스나 강을 따라 카미에네츠 리테우스키에서 붉은 군대에 대한 교두보를 구축했으나, 중앙 집단군의 돌파된 전선을 탈환하지 못하고 퇴각해야 했다. 1944년 7월 말, 스타니슬라프 부근에 진지를 구축하고 남쪽과 서쪽을 방어했다. 1944년 8월 3일, 제39기갑군단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서쪽으로 진격했다. 1944년 8월 12일 밤, 북쪽으로 20km 후퇴했다. 1944년 8월 14일, 붉은 군대가 제3SS기갑사단과 제5SS기갑사단 사이에 침투했고, 1944년 8월 18일 사단은 바르샤바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8월 24일, 사단 병력은 10,335명으로 감소했으며, 1944년 9월 6일까지 나레프 강을 건너 철수했다. 우크라이나인 대대와 훈련받지 않은 공군 병력 약 1,000명이 보강되었고, 1944년 10월 2일 사단 병력은 약 1만 명이었다.

1945년 1월 10일, 사단은 벌러톤 호수 연안 차야그 지구로 이동했다. 1945년 1월 18일, 부다페스트 공세 구원에 참가, 격렬한 전투 끝에 1945년 1월 19일 칼로스에서 사르비즈 운하를 건넜다. 이후 북상하여 사로슈드를 공략하고, 1945년 1월 23일 도나우강을 거쳐 밸리 강으로 이동했다. 1945년 1월 29일 붉은 군대의 공세가 시작되자, 1945년 2월 1일 사단은 가르도니-솔가에기야자 선으로 이동했다.

붉은 군대의 지속적인 공격으로 사단은 전투단 규모로 약화되었고, 1945년 2월 22일 세케슈페헤르바르 주변으로 이동했다. 해군과 공군 병력이 보충되어 1945년 2월 27일부터 다시 사단으로 기능했다.

1945년 3월 16일, 사단은 독일군의 마지막 공세인 봄의 각성 작전에 참가했으나, 1945년 3월 10일까지 중화기 대부분을 상실했다. 1945년 3월 21일, 도시 폐쇄가 확실해지자 울리히 사단장은 아돌프 히틀러의 사수 명령을 어기고 도시를 포기, 사단을 이끌고 벌러톤 호수를 건너 북서쪽으로 향했다. 1945년 3월 24일, 베스프렘 주변에서 일시적으로 방어선이 형성되었고, 사단은 본국으로부터 마지막 보충을 받았다. 보충 병력은 대공포 보조원, 보안 경찰관, 50세 이상 병사들이었다. 재편성 후 퓌르스텐펠트 남동부로 이동이 명령되었다. 1945년 5월 7일, 사단은 진지를 떠나 서쪽으로 철수했고, 대부분의 병력은 바이에른주라드슈타트 부근에서 미국군에 항복했다.

1943년 이후 제5SS기갑사단 "비킹"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

  • '''제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SS-Panzergrenadier-Division "Wiking")'''[24]

명칭 (한국어)명칭 (독일어)
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SS-Panzergrenadier-Regiment "Germania"
SS기갑척탄병연대 "노르트란트"SS-Panzergrenadier-Regiment "Nordland"
SS기갑척탄병연대 "베스트란트"SS-Panzergrenadier-Regiment "Westland"
SS기갑대대 "비킹"SS-Panzer-Abteilung "Wiking"
제5SS포병연대Artillerie-Regiment 5
대전차엽병대대Panzerjäger-Abteilung
정찰대대Aufklärungs-Abteilung
대공포대대Flak-Abteilung
공병대대Pionier-Bataillon
통신대대Nachrichten-Abteilung
야전보충대대Feldersatz-Bataillon
정비대대Versorgungseinheiten


  • '''제5SS기갑사단 "비킹"(5. SS-Panzer-Division "Wiking")'''

명칭 (한국어)명칭 (독일어)
제9SS기갑척탄병연대 "게르마니아"SS-Panzer-Grenadier-Regiment 9 "Germania"
SS기갑척탄병연대 "노르트란트"SS-Panzergrenadier-Regiment "Nordland"
에스토니아 SS의용기갑척탄병대대 "나르바"estnisches SS-Freiwilligen-Panzer-Grenadier-Bataillon "Narwa"
핀란드 무장SS의용대대 "발로니엔" SS돌격여단Finnisches Freiwilligen-Bataillon der Waffen-SS SS-Sturmbrigade "Wallonien"
제5SS기갑연대SS-Panzer-Regiment 5
제5SS대전차엽병대대SS-Panzerjäger-Abteilung 5
제5SS돌격포대대SS-Sturmgeschütz-Abteilung 5
제5SS돌격포대SS-Sturmgeschütz-Batterie 5
제5SS기갑포병연대SS-Panzer-Artillerie-Regiment 5
제5SS대공포대대SS-Flak-Abteilung 5
제5SS로켓포대대SS-Werfer-Abteilung 5
제5SS기갑통신대대SS-Panzer-Nachrichten-Abteilung 5
제5SS기갑정찰대대SS-Panzer-Aufklarungs-Abteilung 5
제5SS기갑공병대대SS-Panzer-Pionier-Bataillon 5
제5SS사단수송대대SS-Divisions-Nachschub-Abteilung 5
제5SS정비대대SS-Instandsetzungs-Abteilung 5
제5SS운영대대SS-Wirtschafts-Bataillon 5
제5SS의무대대SS-Sanitäts-Abteilung 5
제5SS야전병원SS-Feldlazarett 5
제5SS전시보도반SS-Kriegsberichter-Zug 5
제5SS야전헌병소대SS-Feldgendarmerie-Trupp 5
제5SS야전보충대대SS-Feldersatz-Bataillon 5
제23SS기갑척탄병연대 "노르게" 제1대대I./SS-Panzer-Grenadier-Regiment 23 "Norge"
제24SS기갑척탄병연대 "단마르크" 제1대대I./SS-Panzer-Grenadier-Regiment 24 "Danmark"


참조

[1] 서적 SS-Wiking: the history of the Fifth SS Division, 1941-45 https://www.worldcat[...] Casemate 2002
[2] 서적 Hitler's Teutonic Knights: SS panzers in action P. Stephens ; Distributed by Sterling Pub. Co 1986
[3] 문서 McNab, pp. 167, 178
[4] 문서 McNab, p. 167
[5] 문서 Stein, pp. 103, 104
[6] 문서 Stein, p. 103
[7] 문서 McNab, p. 178
[8] 뉴스 Finnish Volunteers "Very Likely" Participated in the Killing of Jew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2-11
[9] 문서 Littlejohn (1987) p. 53.
[10] 문서 Gilbert pp. 181-182.
[11] 문서 Gilbert pp. 195-196.
[12] 문서 Gilbert pp. 202-204.
[13] 문서 Gilbert pp. 278-279.
[14] 문서 Gilbert pp. 281.
[15] 문서 Stein (1984) p. 238.
[16] 문서 Dollinger (1967) p. 182.
[17] 서적 Masters of Death: The SS-Einsatzgruppen and the Invention of the Holocaust Vintage 2003
[18] 문서 Lappin
[19] 웹사이트 Olav Tuff (91): Vi brente en kirke med sivilister http://www.nrk.no/fo[...]
[20] 웹사이트 Ei ny fortid http://www.klassekam[...]
[21] 문서 "The SS Hitler´s Instrument of the Power" KAISER
[22] 문서 MILITÄRISCHES STUDIENGLOSAR ENGLISCH Teil II/ Teil III, Deutsch – Englisch, Abkürzung Begriff Bundessprachenamt 2001-01
[23] 문서 Official designation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stores of the Wehrmacht and Waffen-SS.
[24] 서적 5th SS Division Wiking at War 1941-1945: History of the Division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Limited 2018-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